저출산이란 아이를 적게 낳아 사회 전반적으로 출산율이 감소하는 사회 현상을 말한다. 2022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1983년 이래 40여 년간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있고 2022년부터는 합계출산율 1.3명 이하인 초저출산 국가로 진입했다.
우리 정부는 2005년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을 제정하고 저출산 극복을 위해 정책적 대응을 확대해 왔으나 오히려 세계에서 가장 급격한 출산율 저하를 겪어왔다. 특히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학령인구와 병역자원 부족, 지역소멸 가속화, 성장 잠재력 약화 등 경제·사회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쳐, 저출산 현상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협하는 국가적 위기이자 국가적 대응과제가 되고 있다.
출처: 국회도서관 「저출산 대책: 한눈에 보기」
일본 기시다 정부의 저출산 대책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23.05.09초저출산 탈피 해외사례 검토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국회예산정책처 2023.04.14경기도 지역별 저출생 정책 현황과 과제 : 저출생고령화시대, 성평등환경을 논하다 : 기획시리즈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23.04.24광역지방자치단체 저출산 대응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12.30저출산 극복을 위한 세제혜택 확대방안 검토
한국경제연구원(keri) 2022.03.28저출산이 여성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KLI) 2021.12.30인구소멸 위기상황, 저출생지원정책 예산은 어디에 쓰고 있는가?
경기복지재단 2021.11.01초저출생 대응을 위한 재정 확보 및 거버넌스 구축 방안은? : 저출생·인구절벽대응 국회포럼 연속 정책 토론회 5차 토론회
[남인순의원실] 2023.01.17민주주의와 복지국가 연구회 연속 기획 세미나. 제4회, 저출생에 따른 사회 변화와 대비책
[고영인의원실] 2022.12.15생애주기별 돌봄시스템 강화 어떻게 할 것인가? : 저출생·인구절벽대응 국회포럼 연속 정책 토론회 2차 토론회
[남인순의원실] 2022.12.07초저출생 지속 무엇이 문제일까? 회복 국가와 비교 : 저출생·인구절벽대응 국회포럼 연속 정책 토론회 1차 토론회
[남인순의원실] 2022.12.06인구충격에 대응하는 미래전략 모색 : 연속세미나 '대한민국 3대 대변화에 답하다' 제1차 토론회
[박용진의원실] 2022.10.26낳기만 하면 알아서 크나요? :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국회토론회
[황보승희의원실] 2022.09.27인구쇼크, 대한민국 소멸위기 사라지는 대한민국 해법은 있나?
[양기대의원실] 2022.09.26인구 구조적 측면에서 바라본 저출생 문제! 저출생 정책을 진단하고 제안한다
[김미애의원실] 2022.04.21싱가포르의 저출산 대응 정책과 외국인 가사도우미 제도
국회도서관 2022.12.22저출산·고령화 사회 대응을 위한 아베 정부의 노동시장과 사회복지정책
경남대학교 출판부 2022.06.30재정투입, 무상교육, 이민정책으로 저출산·고령화 문제 돌파한다 : 독일
KDI 경제정보센터 2022.02.28현금지원이 유배우 출산율에 미치는 효과 : 강원도 육아기본수당 지급 사례로부터의 증거
한국경제학회 2022.06.30저출산 시대, 변화하는 젠더 관계와 아동 돌봄 정책의 과제
대한민국헌정회 2021.09.01인천광역시 저출산 대책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인천광역시 2023.04.17울산광역시 동구 저출산 대책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울산광역시 동구 2023.03.30구리시 저출산대책 지원에 관한 조례
경기도 구리시 2023.03.13광명시 저출산ㆍ고령사회 대응과 지속 발전을 위한조례
경기도 광명시 2023.03.10전주시 저출생 대책 및 출산장려 지원 조례
전라북도 전주시 2023.03.07순천시 저출산 대책 및 출산장려 지원에 관한 조례
전라남도 순천시 2023.02.28부산곽역시 동구 저출산대책 및 출산 장려 지원 조례
부산광역시 동구 2023.02.08고창군 저출산 극복을 위한 인구정책 조례
전라북도 고창군 2023.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