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8
제1장 서론 15
제2장 실증연구 : 여성 노동시장 현황 19
제1절 서론 19
제2절 데이터 및 방법론 20
1. 조건부 남녀 임금격차 데이터: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2006~2020년) 20
2. 조건부 남녀 임금격차 : 회귀식 및 기초통계 22
3. 기타 자료 : OECD 데이터와 경제활동인구조사 23
제3절 분석 결과 23
1. 조건부 남녀 임금격차 추세 23
2. 성별 종사 직군 비율 및 근로시간 추세 28
3. OECD 회원국별 여성 노동시장참가율, 고용률 및 교육수준 32
제4절 소결 35
제3장 실증연구 : 자녀 수에 따른 남녀 상대임금, 가사노동 그리고 여성 경제활동상태 36
제1절 서론 36
제2절 데이터 : 여성가족패널조사 1~7차 자료 37
1.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 개요 및 전체표본 기초통계 37
2. 자녀 수에 따른 기초통계 40
3. 남녀 상대임금 분위별 기초통계 49
4. 추세 : 여성 가사노동시간 및 실질소득 52
제3절 실증분석 : 여성 상대임금, 상대가사노동시간, 경제활동상태와 자녀 수 54
1. 여성 상대가사노동 : 여성 상대임금과 자녀 수 54
2. 여성 경제활동상태와 자녀 수 60
제4절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68
제4장 구조모형 분석 : 자녀 수 및 자녀 양육 방식이 여성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71
제1절 서론 71
제2절 구조모형 및 캘리브레이션 72
1. 모형 소개와 문헌 배경 72
2. 모형 환경 74
3. 가치함수(Value function) 76
4.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78
제3절 모형 분석 및 반사실적 분석 82
1. 단독가구 모형 82
2. 부부가구 모형 : 시뮬레이션 결과 83
제4절 소결 90
제5장 결론 93
참고문헌 97
판권기 99
〈표 2-1〉 기초통계 :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2006~2020년) 22
〈표 2-2〉 남성 및 여성 근로시간 추세(2008~2019년) 32
〈표 3-1〉 KLoWF 기초통계 : 1~7차, 전체표본 대상 39
〈표 3-2〉 자녀 여부에 따른 여성가족패널 1차(2007년)~7차(2018년) 기초통계 41
〈표 3-3〉 취학 이전 자녀 수에 따른 여성가족패널 1차(2007년)~7차(2018년) 기초통계 42
〈표 3-4〉 초중고 자녀 수에 따른 여성가족패널 1차(2007년)~7차(2018년) 기초통계 44
〈표 3-5〉 자녀 수에 따른 KLoWF 기초통계 : 1차(2007년)~7차(2018년) 47
〈표 3-6〉 여성 상대임금(여성 실질임금/남성 실질임금) 분위에 따른 KLoWF 기초통계 : 1차(2007년)~7차(2018년) 50
〈표 3-7〉 여성 상대가사노동시간 설명 요소 : Pooled OLS 55
〈표 3-8〉 여성 상대가사노동시간 설명 요소 : 임의효과 모형 56
〈표 3-9〉 여성 상대가사노동시간 설명 요소 : 임의효과 모형 상호작용 추정 58
〈표 3-10〉 여성 상대가사노동시간 설명 요소 : 임의효과 모형 교육수준 간 이질성 59
〈표 3-11〉 여성 경제활동상태 설명 요소 : 패널프로빗, 전체표본 61
〈표 3-12〉 여성 경제활동상태 설명 요소 : 패널프로빗, 대학 미진학 그룹 62
〈표 3-13〉 여성 경제활동상태 설명 요소 : 패널프로빗, 대학 진학 그룹 63
〈표 3-14〉 자녀 수 여부에 따른 가사도우미 효과 : 패널프로빗, 전체표본 65
〈표 3-15〉 자녀 수 여부에 따른 가사도우미 효과: 패널프로빗, 대학교 미진학 66
〈표 3-16〉 자녀 수 여부에 따른 가사도우미 효과 : 패널프로빗, 4년제 대학 졸업 67
〈표 4-1〉 캘리브레이션 및 모수화 79
〈표 4-2〉 시뮬레이션 결과 : 남성 평균 근로시간 nm 87
〈표 4-3〉 시뮬레이션 결과 : 남성 평균 근로시간 nf 87
〈표 4-4〉 시뮬레이션 OLS 분석 : 여성 노동공급과의 관계, γ=0.025 88
〈표 4-5〉 시뮬레이션 OLS 분석 : 여성 노동공급과의 관계, γ=0.2900 89
〈표 4-6〉 시뮬레이션 OLS 분석 : 여성 노동공급과의 관계, γ=0.5000 89
〈표 4-7〉 시뮬레이션 OLS 분석 : 여성 노동공급과의 관계, γ=0.7500 90
[그림 2-1] 남녀 임금격차 : 총액 기준(2006~2020년) 24
[그림 2-2] 남녀 임금격차 : 정액급여(2006~2020년) 24
[그림 2-3] 남녀 임금격차 : 성과급 기준(2006~2020년) 25
[그림 2-4] 남녀 임금격차 : 성과급 비율 기준(2006~2020년) 26
[그림 2-5] 직군별 남녀 임금격차 : 총액급여 기준(2006~2020년) 27
[그림 2-6] 직군별 남녀 임금격차 : 성과급 기준(2006~2020년) 28
[그림 2-7] 연도별 여성 근로 직군 비율(2006~2020년) 29
[그림 2-8] 연도별 남성 근로 직군 비율(2006~2020년) 29
[그림 2-9] 주당 평균 근로시간 추세(2008~2019년) 30
[그림 2-10] 주 36시간 이상 근로자 수 추세(2008~2019년) 31
[그림 2-11] 주 36시간 미만 근로자 수 추세(2008~2019년) 31
[그림 2-12] OECD 회원국별 여성 노동시장참가율 추세(1985~2020년) 33
[그림 2-13] OECD 회원국별 여성 고용률 추세(1985~2020년) 34
[그림 2-14] OECD 회원국별 여성 고등교육 완료 비율(1998~2019년) 34
[그림 3-1] 부부 가사노동 및 임금 차이 추세 : 전체표본 52
[그림 3-2] 부부 가사노동 및 임금 차이 추세 : 자녀가 없는 부부 53
[그림 3-3] 부부 가사노동 및 임금 차이 추세 : 자녀가 존재하는 부부 53
[그림 4-1] VR-VS 83
[그림 4-2] 모형 시뮬레이션 : 여성 상대노동생산성 분포 84
[그림 4-3] 기준모형 시뮬레이션 결과 : 여성과 남성 간 직업선택 84
[그림 4-4] γ=0.025일 때 시뮬레이션 결과 : 여성과 남성 간 직업 선택 86
[그림 4-5] γ=1,000일 때 시뮬레이션 결과 : 여성과 남성 간 직업 선택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