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이란 인구 감소, 산업구조 변화, 무분별한 도시 확장, 주거환경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 강화, 새로운 기능 도입 · 창출, 지역자원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 · 사회적 · 물리적 · 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도시쇠퇴의 문제와 함께 각종 물리적 · 비물리적 사업을 시민의 관심과 의견을 반영하여 추진하는 도시재생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함으로써 도시재생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는 계획적이고 종합적인 도시재생 추진체제를 구축하고, 물리적 · 비물리적 지원을 통해 민간과 정부의 관련 사업들이 실질적인 도시재생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출처: 서울특별시 알기 쉬운 도시계획 용어, ‘도시재생’ (2020.12.), 이미지: freepik
「도시재생법」 10년, 제도 개선 방안과 부산 원도심의 미래
[안병길의원실] 2023-06-09빌라밀집지역에 필요한 혁신방안은 무엇인가
[소병훈의원실] 2023-05-03원도심 개발 여건 조성 및 활성화 방안 : 지역현안 입법지원 토론회
[조승환의원실] 2024-08-30도시계획 혁신방안 무엇이 문제인가 : 토론회
[박상혁의원실] 2023-08-23주요국 도시재생 사례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실 2024-07-08주택·도시 정책에서의 공공리츠 운용현황 및 성과분석 : 공공임대, 도시재생을 중심으로 : 2022년도 연구용역보고서
국회예산정책처 2022-11-18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
제22대 제418회 2024-09-09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
제22대 제416회 2024-07-08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
제22대 제415회 2024-07-01주택정비사업 규정 정비
국회도서관 2022-07-26민.관 공동 도시개발사업 공공성 강화 방안
국회도서관 2022-04-19프랑스의 지방 중소도시 활력 증진을 위한 도심활성화사업
국회도서관 2023-09-14일본의 지방활성화 대책 : 지방소멸 방지를 위한 창업지원금과 이주지원금
국회도서관 2023-02-16주요국 도시재생 사례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실 2024-07-08주택·도시 정책에서의 공공리츠 운용현황 및 성과분석 : 공공임대, 도시재생을 중심으로 : 2022년도 연구용역보고서
국회예산정책처 2022-11-18주택정비사업 규정 정비
국회도서관 2022-07-26민.관 공동 도시개발사업 공공성 강화 방안
국회도서관 2022-04-19프랑스의 지방 중소도시 활력 증진을 위한 도심활성화사업
국회도서관 2023-09-14일본의 지방활성화 대책 : 지방소멸 방지를 위한 창업지원금과 이주지원금
국회도서관 2023-02-16울산광역시 북구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조례
울산광역시 북구 2024-09-19아산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충청남도 아산시 2024-07-15김해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경상남도 김해시 2024-07-11부산광역시동래구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부산광역시 동래구 2024-07-08경상남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
경상남도 2024-04-03도시재생사업에서의 주민참여: 지역공동체의식과 정치성향의 효과 검토
한국지방정부학회 2024-05-31미국 지방정부의 도시재생 사례와 시사점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08-21제주특별자치도 도시재생에 대한 특정성별영향평가
PRISM 2023-03-20노원구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연구
PRISM 2023-03-14경상북도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도시재생씨앗융자 활용을 중심으로-
대구경북연구원 2022-12-01도시재생사업 네트워크 및 거버넌스 구축 사례연구: 파주시 상권진흥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08-31로컬 브랜딩을 통한 전남지역 도시재생 추진 방향 연구
전남연구원 2024-05-08도시재생사업에서의 주민참여: 지역공동체의식과 정치성향의 효과 검토
한국지방정부학회 2024-05-31미국 지방정부의 도시재생 사례와 시사점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08-21제주특별자치도 도시재생에 대한 특정성별영향평가
PRISM 2023-03-20노원구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연구
PRISM 2023-03-14경상북도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도시재생씨앗융자 활용을 중심으로-
대구경북연구원 2022-12-01도시재생사업 네트워크 및 거버넌스 구축 사례연구: 파주시 상권진흥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08-31로컬 브랜딩을 통한 전남지역 도시재생 추진 방향 연구
전남연구원 2024-05-08도시재생사업의 지속성 제고를 위한 지자체 행정지원체계 개편방안
국토연구원(KRIHS) 2024-02-05한국의 국토균형발전 및 도시재생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in Korea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23-10-24「도시재생법」 제정 10년, 법제도를 개편하고 새롭게 시작할 때
국토연구원(KRIHS) 2022-10-31도시재생사업 선순환 구조 실현을 위한 정책방안
국토연구원(KRIHS) 2021-10-05도시재생 거점시설을 통해 본 민관파트너십 : 서울시 1단계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02-28대학 캠퍼스 유휴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02-28도시재생과 기후대책의 통합
한국도시계획가협회 2023-07-01지역공동체 주도 도시재생 문화행사에 대한 만족도 및 재방문 의사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023-09-30도시재생의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활성화에 관한 연구
大韓不動産學會 2023-03-31비수도권 중소도시 생활문화시설 취약 지역 분석 및 시설 계획 방향 제안 : 전라북도 군산시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2023-07-30도시재생에서의 거버넌스 구축 사례 연구
忠北大學校建設技術硏究所 2023-06-30도시재생사업의 지속성 제고를 위한 지자체 행정지원체계 개편방안
국토연구원(KRIHS) 2024-02-05한국의 국토균형발전 및 도시재생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in Korea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23-10-24「도시재생법」 제정 10년, 법제도를 개편하고 새롭게 시작할 때
국토연구원(KRIHS) 2022-10-31도시재생사업 선순환 구조 실현을 위한 정책방안
국토연구원(KRIHS) 2021-10-05도시재생 거점시설을 통해 본 민관파트너십 : 서울시 1단계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02-28대학 캠퍼스 유휴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02-28도시재생과 기후대책의 통합
한국도시계획가협회 2023-07-01지역공동체 주도 도시재생 문화행사에 대한 만족도 및 재방문 의사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023-09-30도시재생의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활성화에 관한 연구
大韓不動産學會 2023-03-31비수도권 중소도시 생활문화시설 취약 지역 분석 및 시설 계획 방향 제안 : 전라북도 군산시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2023-07-30도시재생에서의 거버넌스 구축 사례 연구
忠北大學校建設技術硏究所 2023-06-30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