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하여 대학에서 미충원 학생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학생 미충원에 대한 문제는 수도권 대학보다는 지방 대학들에서 매우 심각한 현상으로 되고 있다. 대학에서는 점차적인 학생수 감소로 인하여 기존 학과들이 사용하였던 교육공간들이 대규모 유휴공간으로 되는 심각한 대학 내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들의 유휴공간 활용한 우수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발생할 지방대학 캠퍼스 내 유휴공간들의 활용 방향 및 방법에 대하여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학의 유휴공간 및 대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 활용 사례에 대한 조사는 기존 대학의 홈페이지, 관련 정부부처 인터넷사이트 및 정부의 보고서, 뉴스 등을 자료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가야대학교, 건국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북대학교, 한남대학교 등 국내 6개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의 활용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조사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캠퍼스 유휴공간에 대한 학생활용도, 지역주민활용도, 캠퍼스전체 대비 부지 활용도, 부지활용에 따른 대학재정기여도, 지역사회기여도 등 총 5가지 항목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캠퍼스 유휴공간에 대한 활용도 종합평가를 하였다. 가장 활동도가 높았거나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학은 경인교육대학이고 그 다음으로 전남대학교이다. 전남대학교의 대학타운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도가 제일 높게 났으며, 충북대는 재학생들과 지역 청년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남대는 학생, 시민, 중소기업 등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바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가야대학교와 건국대학교의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 활용도가 다소 낮게 나타난 원인은 정부 부처, 지자체와 공동으로 유휴공간 활용사업을 진행한 것 아니라 대학 자체의 재정만으로 활용하였기에 다소 활용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논문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의 활용사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추후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의 유휴공간이 많이 발생될 것이 예상되는 바, 향후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한 활성화방안 마련 및 지자체 및 중앙부처와의 협력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a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in South Korea, issues have arisen regarding the insufficient number of students in universities. The problem of insufficient number of enrolled students is becoming a very serious phenomenon in local universities rather than in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Universities anticipate a serious internal issue as a result of the gradual decrease in student numbers, where existing educational spaces in various departments become massive unused spac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method of utilizing unused space on local university campuses in the future by searching the best practices in utilizing unused space at domestic universities. (Method)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theoretical review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re given to the underutilised spaces in universities and the impact of universities on the local community. The investigation into cases of utilizing underutilised spaces on university campuses involved categorizing and analyzing data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university websites, relevant government agencies' websites, government reports, news, etc. I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use cases of unused space on six university campuses in Korea, including Gaya University, Konkuk University,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and Hannam University. (Results) Based on the investigated case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utilization of unused campus space was conducted across five categories: use by student utilization, community utilization, site utilization compared to the overall campus, financial contribution to the university based on site utilization, and community contribution. The university with the highest or expected highest activity level was Gyeongin Education University, followed b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s New Deal project for a university town-type urban regeneration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he local community, whil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demonstrated high utilization by enrolled students and local youth. Hannam University appear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local community, including students, citizens, and small businesses. Gaya University and Konkuk University showed relatively lower utilization of unused spaces on their campuses. The reason for this lower utilization wa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se universities relied solely on their own finances for space utilization, rather than engaging in collaborative projects with government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Conclusions) In this paper, I conducted research on recent cases of utilizing unused spaces on university campuses, which have been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a significant increase in unused spaces on university campuses is expected in the future due to the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unused spaces on university campuses,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for activation through proactive collaboration with businesses. Additionally, cooperations with local governments and central government ministries are considered essential to elevate the effectiveness of unused space utilization on university campus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