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는 오픈에이아이(OpenAI)가 개발한 대화 전문 인공지능 챗봇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장을 이해하고 관련 있는 답변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사람과 대화하는 것처럼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사용자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특히 질문에 대한 답변은 물론 논문 작성, 번역, 코딩 작업 등 광범위한 분야의 업무 수행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인공지능과는 다른 면모를 보이고 있다.
'챗GPT'를 시작으로 구글, 메타 등 IT기업들이 자사 초거대 인공지능 언어 모델을 공개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으로는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 카카오의 KoGPT 등이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Unsplash의 Rolf van Root
'ChatGPT'로 작성한 업무보고서 및 시사점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 2023.04.20챗GPT 이용 경험 및 인식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2023.04.12생성형 AI 관련 주요 이슈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3.04.12ChatGPT 활용 스마트행정 활성화 방안
광주전남연구원 2023.04.11ChatGPT 등장과 법제도 이슈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2023.03.27ChatGPT, 국내외 공공 부문 도입 동향과 지자체 활용방안 : 지역디지털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지역정보개발원(KLID) 2023.03.20챗GPT의 이해 :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경남연구원 2023.03.31챗GPT 열풍, 과제와 전망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2023.02.27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사회변화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 기반 디지털 전환 전략 : 제18회 KASSE 포럼·국회 미래정책연구회
[김영식의원실] 2022.10.25인공지능 윤리 법안 관련 전문가 간담회
[이원욱의원실] 2022.04.08디지털 플랫폼 정부 혁신 전략
[이영의원실] 2022.04.07AI·데이터 산업 발전과 인재 양성 토론회 : G5 진입의 핵심 키워드 AI & Data-base Industry
[최종윤의원실] 2022.02.11알고리즘 및 인공지능에 관한 법률안 공청회
[윤영찬의원실] 2022.01.25인공지능에 관한 법률안 입법공청회
[이용빈의원실] 2021.11.16인공지능 육성 및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법률안 입법공청회
[정필모의원실] 2021.06.18챗GPT(ChatGPT)의 이해와 출판생태계에 미칠 영향
국회도서관 2023.02.28우리가 바꿀 ChatGPT
국회도서관 2023.03.31인공지능 윤리 인식에 대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연구 :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이루다'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02.28초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동향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1.08.11인공지능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초거대 인공지능
한국재정정보원 2021.11.10네이버가 도전하는 AI 서비스 : 한국어 초거대 언어 모델을 통한 AI 혁신의 길을 기대하다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2021.08.01GPT-3 등장의 의미와 과제 : GPT 시리즈의 다양성을 통해 SW의 자동화 실현 기대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20.11.02범용 AI의 선두주자, GPT-3가 가져온 충격 : 류한석의 신기술 토크
KDI 경제정보센터 2020.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