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과제정보
과제명, 기관명, 담당부서, 전화번호, 연구기간, 연구분야, 과제개요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과제명 |
초?중등 교육 분야 생성형 인공지능 적용 방안 연구 |
기관명 |
충청북도교육청 |
담당부서 |
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 충북교육쟁책연구부 |
전화번호 |
043-290-9724 |
연구기간 |
2023-08-01 ~ 2023-12-28 |
연구분야 |
학교교육 내실화 |
과제개요 |
? 초?중등 교육 분야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적용 방안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충북의 차별화된 적용 방안을 도출하여 타 시도 대비 디지털 교육 혁신 주도하는데 목적이 있음
? ChatGPT를 포함한 생성형 인공지능에 따른 미래 교육의 변화를 전망하고 AI기술 변화에 따른 대응과 하이테크-하이터치의 학생 성장 지원 체제를 시급히 마련해야 함
? 국내?외 생성형 인공지능 현황 및 전망
- 생성형 인공지능의 국내?외 개발 현황 및 향후 전망 예측
? 생성형 인공지능의 교육 분야 적용 국내?외 사례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을 교육 분야에 적용한 국내?외 사례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적용을 위한 교육 환경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적용을 위한 물리적 교육 환경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 적용에 대한 학생, 교사, 교육청 관계자 대상 인식 조사
? 생성형 인공지능의 각 분야별 적용 방안 및 사례(분야별 5개 이상) 도출
- 충북의 차별화된 적용 방안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분야별 적용 사례 개발
- 학생 관점은 자기주도적 학습, 교사 관점은 교실 수업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하되, 세부 단계별 구체적인 사례(예. 교수학습지도안) 도출
※ 분야별 현장 전문가(교사, 교육청 관계자, 플랫폼 개발 관계자 등)를 연구진, 또는 자문진에 필수 참여하고, 분야별 연구 분과 구성. 단, 중등 교사는 다양한 교과 전공자 확보
- 총론 수준에서 교육 분야의 생성형 인공지능 적용 방안과 함께 각론 수준에서 분야별로 5개 이상의 구체적인 사례 도출(사례의 수는 추후 협의를 통해 조정 가능)
? 생성형 인공지능 적용의 순기능과 역기능 제시
- 총론 및 각론(분야별)에서 교육 분야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순기능과 역기능을 제시하고, 역기능 최소화 방안*도 함께 제시
* (고려사항) 윤리적·법적·제도적 보완점, 필요한 시설·공간·예산, 교수학습 방법·평가체계(틀)·평가 결과 기록 방식의 변화 방향성, 연수 내용 및 연수 방법, 경제적 격차에 따른 생성형 인공지능의 사용 기회 격차 등
? 다차원 학생 성장플랫폼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적용 및 활용 방안 제시
-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연차별 로드맵을 고려하여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생성형 인공지능 및 교사와 학생 관점에서 구체적인 활용 방안 제시
? 초?중등 교육 분야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적용 가이드(매뉴얼 등) 개발
- 상기의 연구 내용을 토대로 학교와 교육청에서 활용(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매뉴얼 등) 2종(교사?학생용, 정책입안자용) 개발
※ 가이드(매뉴얼 등)의 형식 및 분량 등은 협상을 통해 정하되, 내용은 일목요연하게 정리(편집 및 디자인 포함)
? 생성형 인공지능의 적용 가이드에 따른 적용 후의 인식 변화
- 교사, 정책입안자 등이 생성형 인공지능 가이드에 따라 적용 및 실행 후 인식 변화 확인 (실행 전에 교사 및 정책입안자 대상 연수 실시)
|
계약정보
수행기관, 수행연구원, 계약일자, 계약방식, 계약금액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수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행연구원 |
김귀훈 |
계약일자 |
|
계약방식 |
경쟁 입찰 후 수의계약 |
계약금액 |
50000000원 |
연구결과정보
제목, 연구보고서, 공개제한근거, 비공개사유, 연구보고서, 목차, 주제어, 공헌자, 제작일, 발행년도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
초·중등 교육 분야 생성형 인공지능 적용 방안 연구 |
연구보고서 |
2023-26. 최종보고서(초?중등 교육 분야 생성형 인공지능 적용 방안 연구).pdf |
공개제한근거 |
5호 |
※ 이 정책연구는 공개예정일자에 연구수행 부서에서 공개가능 여부를 재검토하며, 비공개 기간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
비공개사유 |
5. 감사·감독·검사·시험·규제·입찰계약·기술개발·인사관리·의사결정과정 또는 내부검토과정에 있는 사항
등으로서 공개될 경우 업무의 공정한 수행이나 연구·개발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한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정보
|
목차 |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II. 이론적 근거 7
1. 국내·외 생성형 AI 현황 7
2. 생성형 AI의 교육 분야 적용 사례 10
III. 교육 분야의 생성형 AI 적용을 위한 환경 및 요구 분석 14
1. 교육 분야의 생성형 AI 적용을 위한 환경 분석 14
2. 생성형 AI 적용을 위한 인식 및 요구 분석 18
IV. 충북 교육에 특화된 생성형 AI 적용 방안 49
1. 충북의 차별화된 적용을 위한 개요 49
2. 사용자와 환경의 특징을 고려한 활용 방안 51
3. 다채움 플랫폼에의 적용 및 활용 방안 53
V. 생성형 AI의 분야별 사례 및 매뉴얼 개발 65
1. 사례 개발 및 매뉴얼 개발을 위한 개요 65
2. 수업용과 업무용의 공통 부분 68
3. 수업용 사례 및 매뉴얼 개발 71
4. 업무용 사례 및 매뉴얼 개발 92
5. 델파이 연구 결과 107
VI. 매뉴얼 기반 교직원 대상 연수 115
1. 연수 프로그램 계획 115
2. 연수 참여자 대상 인식 조사 문항 구안 116
VII. 제언 119
1. 매뉴얼 의의 및 추후 발전 방향 119
2. 다채움에 생성형 AI 적용을 위한 고려 사항 121
참고문헌 122
부록 124
1.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및 활용도, 콘텐츠 수요 조사 124
2. 초·중등 교육 분야 생성형 AI 매뉴얼(수업편) 전문가 의견 조사 132
3. 초·중등 교육 분야 생성형 AI 매뉴얼(업무편) 전문가 의견 조사 137
|
초록 |
? 교육 분야의 생성형 AI 적용을 위한 환경 및 요구 분석 결과를 제시함
- 교육 분야의 생성형 AI 적용을 위한 환경 분석 결과 제시
- 생성형 AI 적용을 위한 인식 및 요구 분석 결과 제시(심층면담, 설문조사)
? 충북 교육에 특화된 생성형 AI 적용 방안 도출 결과를 제시함
- 충북의 차별화된 적용을 위한 개요 제시
- 사용자와 환경의 특징을 고려한 활용 방안 제시
- 다채움 플랫폼에의 적용 및 활용 방안 제시
? 생성형 AI의 분야별 사례 및 매뉴얼을 개발함
- 교육용 사례 및 매뉴얼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업무용 사례 및 매뉴얼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매뉴얼 기반 교직원 대상 연수를 제공함
- 대면 연수 제공 및 동영상 강의 제공
|
주제어 |
초중등 교육 생성형 인공지능 |
발행년도 |
2023 |
지방정책정보는 자동수집․자동서비스 되는 정보입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원문URL을 클릭하여 원자료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