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과제정보
과제명, 기관명, 담당부서, 전화번호, 연구기간, 연구분야, 과제개요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과제명 |
환경변화에 따른 청주사랑상품권 기능전환 연구용역 |
기관명 |
충청북도 청주시 |
담당부서 |
경제정책과 |
전화번호 |
043-201-1024 |
연구기간 |
2023-10-23 ~ 2023-12-21 |
연구분야 |
지방행정 |
과제개요 |
과 업 명 : 환경 변화에 따른 청주사랑상품권 기능전환 연구용역
과업기간 : 2023. 10. 23. ~ 2023. 12. 21.
수행기관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적 : 정부 정책기조 변화 등 제반 여건 변화에 따른 청주사랑상품권 활성화 방안 연구
주요내용
타 지자체 지역화폐 운영 실태 검토
청주사랑상품권(청주페이) 발행효과 분석
청주사랑상품권(청주페이)의 이용 변화분석
타 지자체 이용실태 및 청주시와 비교 분석
청주사랑상품권(청주페이)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
계약정보
수행기관, 수행연구원, 계약일자, 계약방식, 계약금액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수행기관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행연구원 |
이민규 |
계약일자 |
|
계약방식 |
수의 계약 |
계약금액 |
19600000원 |
연구결과정보
제목, 연구보고서, 공개제한근거, 비공개사유, 연구보고서, 목차, 주제어, 공헌자, 제작일, 발행년도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
환경변화에 따른 청주사랑상품권 기능전환 연구용역 |
연구보고서 |
환경변화에 따른 청주사랑상품권 기능전환 연구용역.pdf |
공개제한근거 |
5호 |
※ 이 정책연구는 공개예정일자에 연구수행 부서에서 공개가능 여부를 재검토하며, 비공개 기간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
비공개사유 |
5. 감사·감독·검사·시험·규제·입찰계약·기술개발·인사관리·의사결정과정 또는 내부검토과정에 있는 사항
등으로서 공개될 경우 업무의 공정한 수행이나 연구·개발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한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정보
|
목차 |
제출문 ⅱ
참여연구진 ⅲ
표목차 ⅵ
그림목차 ⅹ
Ⅰ. 서론 2
1. 일반사항 2
2. 과업의 내용 3
3. 과업의 수행방법 5
4. 추진경과 6
Ⅱ. 현황 및 여건분석 7
1. 인구 · 지리적 여건 7
2. 사회 · 경제적 여건 13
3. 타지자체 비교 분석 (SWOT 분석) 18
Ⅲ. 청주사랑상품권 운영실태 검토 19
1. 청주사랑상품권 (청주페이) 발행현황 19
2. 청주사랑상품권 (청주페이) 관련 청주시 운영실태 분석 25
Ⅳ. 타 지자체 지역화폐 운영 실태 검토 37
1. 타 지자체 지역화폐(상품권) 운영 현황 검토 37
2. 타 지자체 사례분석 및 정책발굴 타 지자체 사례분석 및 정책발굴 42
3. 타 지자체 지역화폐 (상품권) 인지도 제고전략 사례 분석 53
4. 청주사랑상품권(청주페이)을 통한 청주시 경제적 자생력 강화 방안 56
Ⅴ. 청주사랑상품권(청주페이) 발행효과 분석 59
1. 연구의 방법 59
2. 청주사랑 상품권 이용실태 분석 65
Ⅵ. 청주사랑상품권(청주페이)의 이용 변화분석 106
1. 발행조건 변화에 따른 이용규모 증·감 예측 106
2. 발행조건 변화에 따른 성별·연령별, 지역별·업종별 이용규모 증·감 예측 108
3. 경제 파급효과 및 발행 목표 제시 112
Ⅶ. 타 지자체 이용실태 및 청주시와 비교 분석 114
1. 세종특별자치시 여민전 이용실태 분석 114
2. 경기도 수원시 수원페이 이용실태 분석 117
3. 세종특별자치시.수원시 지역화폐와 청주페이 이용실태 비교 124
Ⅷ. 청주사랑상품권(청주페이)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127
1. 청주사랑상품권(청주페이) 어플리케이션의 시민밀착형 플랫폼 강화 방안 127
2. 지역공동체 지향적 청주사랑상품권(청주페이) 시민홍보 방안 132
3. 환경변화에 따른 청주사랑상품권(청주페이) 활성화 방안 134
|
초록 |
본 연구에서 이용한 회귀분석 등을 통한 분석은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등을 직접적으로 계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으나 청주페이의 인센티브가 1% 증가할수록 월별결제금액이 9.833%증가하는 경향성을 고려할 때는 2021년도 예산의 1%인 4.69억원의 예산 증가에 비해 최대 46억원의 지역내 소비 증가 효과(9.833배)가 있음. 따라서 20배의 경제적 효과가 있는지 여부는 향후 연구를 통해 재검토할 필요는 있음. 이는 월별 충전한도액이 50만원이고 인센티브율이 10%인 경우, 청주시 예산 5만원 투입으로 최대 55만원의 지역내 소비 증가 효과(11배)가 있다는 점과 상통함.
정부 기조 변화로 인한 인센티브 예산 지원 축소가 예측되는 가운데, 시민들의 지역공동체 유대감.소속감 형성을 통하여 청주페이 이용 확대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함. 인센티브율이 감소하는 것이 예상되는 시기에는 청주페이 인센티브율에 민감한 계층이 이탈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 청주페이 이용률이 높은 30대~50대의 이용 확대를 높이고 특히 이용률이 높은 여성들을 중심으로 하는 커뮤니티 형성도 중요한 과제임
인센티브율이 감소하는 것이 예상되는 내년도(2024년)에는 청주페이 이용률이 현재(2023년)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내후년(2025년도) 이후 정부 기조 변화를 기대하면서 이용확대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함
|
주제어 |
청주사랑상품권 |
발행년도 |
2023 |
지방정책정보는 자동수집․자동서비스 되는 정보입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원문URL을 클릭하여 원자료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