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행복주택에 거주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질적사례연구를 통해 그들의 삶에서 주거안정성과 미래계획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행복주택 거주 청년 9명을 연구대상자로 설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사례 내 분석 및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거안정에 관한 핵심주제는 ‘청년들의 희망사항’, ‘집 걱정 없는 삶’, ‘부러움의 대상’으로 범주화되었고, 미래계획에 대한 핵심주제는 ‘가족’, ‘직업 및 진로’, ‘부와 재산’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연구참여자들은 안정적인 주거와 미래계획 인식에 있어 괴리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단기적인 안정감을 느끼고 있으나 미래에 대한 걱정 및 막막함을 동반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주거안정성을 위한 행복주택 제도의 변화, 청년들을 위한 체계화된 주거복지제도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xperiences of youth living in Happy-houses in terms of housing stability and future plans.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case study. Nine young people living in Happy-houses were selected as study samples for in-depth interviews. One of the criteria for sample selection include the number of renewal contracts of Happy-house, considering that the residence period of Happy-house was 6 years. In terms of housing stability, three themes emerged: Wish list of youth, life without worry about home, and target of envy. For future plans, family, job and career, and wealth and assets have been categorized as key themes. Relatively, they were found to have gaps between housing stability in Happy-house and future plans. In addition, the study samples expressed relief in the short term but worries in the future. This study concludes with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ement of Happy-housing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