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학교폭력의 대응행동이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친구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정책적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남녀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연구모형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폭력의 방관행동은 친구관계에 부(-)의 영향관계를, 방어행동은 친구관계에 정(+)의 영향관계가 확인되었다. 학교폭력의 방관・방어행동과 친구관계 간 조절효과 분석결과, 부모와 교사지지 모두 조절효과가 있었다. 제언으로 부모와 교사 모두에게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강화 교육 및 예방활동 모색과 전담상담교사 배치, 청소년 프로그램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olicy recommendations by examining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coping behavior on the friendship relationship and whether soci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friendship relationship.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a research model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tes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bystander behavior of school violence had a negative (-) influence on friendship, and the defensive behavior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friendship. Both parents and teachers suggested education and prevention activities to strengthen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assignment of counselors in charge, and youth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