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01. 연구개요 14
1. 연구배경과 목적 15
1) 연구배경 15
2) 연구목적 16
2. 연구내용과 방법 17
02. 국내ㆍ외 1인가구의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 예방ㆍ지원 정책 사례 20
1. 국외 정책 사례 21
1) 외로움 현황 21
2) 1인가구 외로움 문제 해결을 위한 전담 조직 27
3) 1인가구 외로움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과 정책 지원 29
2. 국내 정책 사례 39
1) 1인가구 문제 해결을 위한 법ㆍ제도 39
2) 1인가구 외로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사업 46
03. 서울시 1인가구의 외로움ㆍ사회적 고립 실태 및 특성 48
1. 서울시 1인가구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실태 49
2. 서울시 1인가구의 사회적ㆍ정신적 건강문제 유형과 특성 57
1) 서울시 1인가구의 외로움ㆍ사회적 고립과 사회적ㆍ정신적 건강의 관계 57
2) 1인가구의 사회적ㆍ정신적 건강문제의 유형 및 특성 59
3. 서울시 취약 1인가구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특성 68
1) 운영관리자 간담회 및 취약 1인가구 심층인터뷰 개요 68
2) 운영관리자 심층인터뷰 결과 72
3) 취약 1인가구 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 결과 76
04. 서울시 1인가구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 대응전략 83
1. 서울시 1인가구 유형별 특성과 정책 수요 84
1) 일반 1인가구: 공공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집단 84
2) 취약 1인가구: 공공자원보다 민간자원을 활용하는 집단 86
3) 1인가구지원센터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사항 86
2. 서울시 1인가구 유형별 서비스 제공자와 역할 89
1) 일반 1인가구: 1인가구지원센터 활용 89
2) 취약 1인가구: 지역 공동체 활용 92
3) 은둔 1인가구: 찾동, 우리동네 돌봄단 활용 94
참고문헌 96
[부록] 98
Abstract 126
판권기 129
[표 1-1] 서울시 일부 자치구 1인가구지원센터 담당자 서면자문 개요 18
[표 1-2] 서울시 1인가구의 외로움ㆍ사회적 고립 실태조사 개요 19
[표 2-1] 광역시의 1인가구 조례 제정 현황 39
[표 2-2] 서울시 자치구의 1인가구 조례 제정 현황 41
[표 2-3] 서울시 자치구의 1인가구의 사회적 고립ㆍ고독사 예방ㆍ지원 조례 43
[표 3-1] 서울시 1인가구의 성별ㆍ생애주기별 외로움 비율 49
[표 3-2] 서울시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ㆍ혼인상태별 외로움 비율 50
[표 3-3] 서울시 1인가구의 외로움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상관관계 50
[표 3-4] 서울시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ㆍ생활만족도별 외로움 비율 51
[표 3-5] 서울시 1인가구의 외로움과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51
[표 3-6] 서울시 1인가구의 성별ㆍ생애주기별 사회적 고립 비율 52
[표 3-7] 서울시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ㆍ저임금근로별 사회적 고립 비율 52
[표 3-8] 서울시 1인가구의 사회적 고립과 우울증 비율 53
[표 3-9] 서울시 1인가구의 사회적 고립과 우울증의 상관관계 53
[표 3-10] 1인가구의 사회적ㆍ정신적 건강문제 유형별 특성 64
[표 3-11] 1인가구의 사회적ㆍ정신적 건강문제 유형별 특성 요약 및 종합 66
[표 3-12] 취약 1인가구 심층인터뷰 질문지 71
[표 3-13] 서울시 일반 1인가구와 취약 1인가구의 외로움 비율 77
[표 3-14] 서울시 일반 1인가구와 취약 1인가구의 사회적 고립 비율 77
[표 3-15] 서울시 일반 1인가구와 취약 1인가구의 우울증 비율 78
[표 4-1] 서울시 1인가구의 사회적ㆍ정신적 건강문제 유형과 정책 수요 85
[표 4-2] 외로움 측정을 위한 UCLA 외로움 척도(20문항) 90
[표 4-3] 사회적 고립 측정 문항 90
[표 4-4] 우울증 측정을 위한 PHQ-9 문항 91
[표 4-5] 서울시 1인가구의 사회적ㆍ정신적 건강문제의 유형과 맞춤형 처방 92
[표 4-6] 서울시 일반 1인가구 대상 1인가구지원센터 활용 제안 방안 92
[표 4-7] 서울시 취약 1인가구 대상 지역 공동체 활용 제안 방안 93
[표 4-8] 서울시 은둔 1인가구 대상 찾동, 우리동네 돌봄단 활용 제안 방안 94
[그림 2-1] 영국의 OPN(Opinions and Lifestyle Survey) 외로움 비율 조사 결과 22
[그림 2-2] 영국: 연령대별 외로움 비율 비교 22
[그림 2-3] 영국: 가구 유형별 외로움 비율 비교 23
[그림 2-4] 영국: 실업률과 외로움의 상관관계 23
[그림 2-5] 미국: 집단별 외로움 비율 결과(2019) 24
[그림 2-6] 미국: 집단별 외로움 비율 결과(2020) 25
[그림 2-7] 미국: Seek You 'A Journey Through American Loneliness' 27
[그림 2-8] 일본: 고독대책 담당 장관 임명 28
[그림 2-9] 영국: 'Let's Talk Loneliness' 정부 캠페인 31
[그림 2-10] 스웨덴: 공동주거와 사회적 연결 앱 35
[그림 2-11] 스웨덴: 공동주거와 사회적 연결 앱 36
[그림 2-12] 정부와 지자체의 1인가구 지원사업 유형 47
[그림 3-1] 서울시 1인가구의 성별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비율 54
[그림 3-2] 서울시 1인가구의 세대별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비율 54
[그림 3-3] 서울시 1인가구의 혼인상태별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비율 55
[그림 3-4] 서울시 1인가구의 소득수준별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비율 55
[그림 3-5] 서울시 1인가구의 세대별ㆍ성별ㆍ혼인상태별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비율 56
[그림 3-6] 1인가구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의 관계 57
[그림 3-7] 1인가구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및 정신건강의 관계 58
[그림 3-8] 1인가구의 사회적ㆍ정신적 건강문제의 유형화 알고리즘 및 측정도구 59
[그림 3-9] 1인가구의 사회적ㆍ정신적 건강문제의 유형화 60
[그림 3-10] 인터뷰 대상자 이용 '해피인'과 '참소중한...' 사진 69
[그림 4-1] 1인가구의 사회적ㆍ정신적 건강문제의 유형화 알고리즘 및 측정도구 89
[그림 4-2] 서울시 취약 1인가구(관악구 대학동 거주)의 특성과 정책수요 93
[그림 4-3] 서울시 1인가구의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 대응전략 95
[부록 표 1] 1인가구 사회적 고립/고독사 관련 조례 98
[부록 표 2] 정부 및 지자체 1인가구 정책 지원사업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