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국외훈련 개요 6
제1절 국외훈련 개요 6
제2절 훈련기관 개요 7
1. Police Authority of the Aland Islands 7
2. Stockholm City Hall 7
3. National Police Board(Sweden) 8
제3절 훈련과제 및 내용 9
1. 훈련목적 9
2. 훈련 필요성 9
3. 훈련의 주요 내용 10
제4절 훈련대상자 및 역할 12
1. 훈련대상자 명단 12
2. 훈련참여자 역할분담 및 필요성 13
제5절 훈련일정 14
1. 훈련 일정(개요) 14
2. 훈련 세부일정 15
Ⅱ. 핀란드(올란드제도)의 경찰제도 16
제1절 핀란드 국가개황 16
제2절 핀란드 경찰제도 17
1. 핀란드 경찰제도의 개황 17
2. 조직 및 지휘ㆍ통솔체계 21
3. 핀란드 경찰의 사회적 지위 23
제3절 올란드 제도 24
1. 올란드 제도의 연혁과 개황 24
2. 올란드 제도 자치정부의 특성 26
제4절 올란드제도 경찰제도 28
1. 개황 28
2. 사무와 권한 29
3. 지휘ㆍ통솔체계 및 부서별 업무 31
4. 복제 및 장비 34
5. 핀란드 국가 경찰과의 관계 36
6. 올란드 경찰의 주요이슈(범죄동향 및 권한분배 등) 37
제5절 우리나라 실정과의 비교 및 시사점 40
1. 자치정부 형태 40
2. 자치경찰 운영 형태 40
Ⅲ. 스웨덴의 경찰제도 42
제1절 스웨덴 국가개황 42
제2절 스웨덴 경찰제도 43
1. 스웨덴 경찰제도의 개황 43
2. 조직 및 지휘ㆍ통솔체계 46
제3절 스웨덴 경찰위원회 48
1. 경찰위원회 연혁과 개황 48
2. 경찰위원회 권한과 사무범위 51
제4절 스웨덴 사법제도(특별사법경찰) 53
1. 스웨덴 사법제도의 개황 53
2. 경찰위원회 산하 특별사법경찰 54
3. 경제범죄수사국 56
4. 세관ㆍ환경ㆍ출입국 관리 업무 57
5. 특별사법경찰과 경찰과의 협력관계(스톡홀름 시청을 중심으로) 58
제5절 우리나라 실정과의 비교 및 시사점 62
1. 경찰위원회 권한과 사무범위 62
2. 특별 사법경찰 운영 형태 63
Ⅳ. 북유럽의 학교폭력 대응ㆍ예방 시스템 64
제1절 핀란드 「끼바코울루」 프로그램 64
1. 도입배경 및 개요 64
2. 제도 시행 현황 66
제2절 스웨덴 학교폭력 대응체계 71
1. 도입배경 및 개요 71
제3절 학교폭력 대응ㆍ예방을 위한 경찰의 역할 75
1. 핀란드 경찰의 역할 75
2. 스웨덴 경찰의 역할 76
제4절 우리나라 및 여타 외국과의 비교 78
1. 우리나라 학교폭력 대응 시스템 78
2. OECD 국가들의 학교폭력 대응 시스템 79
3. 시사점 86
Ⅴ. 시사점 및 정책제언 88
제1절 경찰제도 연구의 시사점 및 정책제언 88
가. 우리나라의 자치경찰제도 도입 현황 88
나. 북유럽(올란드제도 경찰ㆍ스웨덴 경찰) 자치경찰제도의 시사점 89
다. 향후 자치경찰제 도입ㆍ발전 방향 및 제언 90
제2절 학교폭력 대응시스템 연구의 시사점 91
가. 학교폭력 대응체계에 대한 우리 나라 실정과의 비교 91
나. 학교폭력 대응에 있어서 경찰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 92
다. 향후 학교폭력 대응방안 검토에 대한 제언 93
사전질의자료 94
참고문헌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