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01. 지역발전지수(RDI) 개요 4
02. 2024 지역발전지수의 특징 6
03. 10년간 지역발전지수 변화(2014~2024년) 13
3.1. 지역발전지수 순위 상승 지역 분석 13
3.2. 농촌소멸위험지역의 지역개발지수 변화 특성 18
04. 시사점 20
[부록] 21
1. RDI 종합지수 및 영역별 지수 상위 50위 지역 21
2. RDI 세부 지표 내역 26
3. 농촌소멸위험지수와 농촌소멸 대응 추진 전략 28
참고문헌 30
판권기 2
표 1. 2024년 지역발전지수 구성 지표 5
표 2. 삶터(생활서비스 지수) 상위 50개 시군 분포 변화 6
표 3. 일터(지역경제력 지수) 상위 50개 시군 분포 변화 7
표 4. 쉼터(삶의 여유공간 지수) 상위 50개 시군 분포 변화 9
표 5. 공동체 터(주민활력 지수) 상위 50개 시군 분포 변화 11
표 6. 지역발전지수 상위 50개 시군 분포 변화 11
표 7. 부문별 지수 순위 30위 이상 상승 시군 목록(2014~2024년 순위 비교) 13
표 8. 지역별 지역발전지수 종합순위 상승 시군 분포 현황 14
그림 1. 지역발전지수의 개념도 4
그림 2. 삶터(생활서비스 지수) 상위 50개 시군 분포(2022년, 2024년) 7
그림 3. 일터(지역경제력 지수) 상위 50개 시군(2022년, 2024년) 8
그림 4. 쉼터(삶의 여유공간 지수) 상위 50개 시군(2022년, 2024년) 9
그림 5. 공동체의 터(주민활력 지수) 상위 50개 시군(2022년, 2024년) 10
그림 6. 지역발전지수 상위 50개 시군(2022년, 2024년) 12
그림 7. 시군 단위 농촌소멸위험지역 분포 18
그림 8. 농촌소멸 위험 수준에 따른 지역개발지수 비교(2024년) 19
부표 1. 생활서비스 지수(상위 50개 시군) 21
부표 2. 지역경제력 지수(상위 50개 시군) 22
부표 3. 삶의 여유공간 지수(상위 50개 시군) 23
부표 4. 주민활력 지수(상위 50개 시군) 24
부표 5. 지역발전지수(가중치 부여한 종합지수, 상위 50개 시군) 25
부표 6. 지역발전지수 세부 지표 설명 26
부표 7. 농촌소멸위험지표 체계 28
부표 8. 부문별ㆍ지표별 가중치 산정 결과 29
부도목차
부도 1. 읍ㆍ면 단위 농촌소멸위험지역 분포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