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01. 강원 동해안의 대형산불 발생 추이 3
02. 그간의 대책을 무력화시킨 임인년 산불 5
03. 향후 동해안 산불대책의 전제 8
04. 환경과 생활의 대전환 시대, 「산불극복뉴딜전략」 수립이 필요 9
〈그림 1〉 전국의 산불발생 건수 대비 피해면적 현황 3
〈그림 2〉 강원 동해안의 산림축적량 대비 5년 단위 누적대형산불 건수 3
〈그림 3〉 3월 5일 강릉시 옥계면 남양리 발화점 위치와 피해 주택 전경 5
〈그림 4〉 묵호동 일원의 산불피해 전경(좌상단 시계방향-7번국도 인근, 도심배후 산지 인근 피해, 도심 내 피해, 도심 내 피해) 6
〈그림 5〉 울진ㆍ삼척 산불 확산 7
〈그림 6〉 Fire Breaker를 구성하는 저류조의 유형 예시 9
〈그림 7〉 도심방어를 위한 완충공간, 주택방호를 위한 이격공간 설정 개념도 9
〈그림 8〉 동해안 시군의 서쪽, 산록 완사면을 대상으로 한 녹색생산단지화 개념도 10
〈그림 9〉 해안지역의 Air Water Distribution(좌), 대기-토양 공기순환식 응결 장치(우) 10
〈그림 10〉 피해목을 수분과 양분의 저장매개로 하는 후글컬쳐(Hugelkultur) 개념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