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1
Ⅰ. 연구의 개요 15
가.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6
나. 연구의 목적 20
다.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0
라. 연구의 주요내용 및 방법 25
Ⅱ. 로컬 브랜딩의 이해 26
가. 로컬브랜드 개념 및 필요성 27
1) 로컬브랜드 개념 27
2) 로컬브랜딩의 필요성 30
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32
1) 장소성 및 랜드마크 34
2) 문화와 라이프스타일 36
3) 로컬 산업 38
4) 공동체성 48
5) 이미지 50
Ⅲ. 전남의 도시재생과 로컬브랜딩 62
가. 전남의 도시재생사업 63
1) 도시재생사업 63
2) 전라남도 도시재생사업 71
3) 전라남도의 로컬브랜드 77
나. 전남 도시재생사업의 로컬 브랜드 활용 81
1) 분석개요 81
2) 전남 도시재생사업 로컬브랜딩 사례 85
3) 종합분석 122
Ⅳ. 전남 도시재생 로컬브랜딩 전략 124
가. 로컬브랜딩 관련 정책 125
1) 도시재생사업(국토부)_지역특화재생 강화 125
2) 생활권 단위 로컬브랜딩 활성화 지원사업(행안부) 131
3) 시사점 140
나. 전남지역 도시재생 관계자 의견수렴 141
1) 의견수렴 개요 141
2) 의견수렴 결과 142
3) 시사점 149
다. 전남 로컬브랜딩 전략 150
1) 도시재생 지역특화사업 공모 전략 수립 150
2) 로컬브랜딩 전략을 통한 지역특화 전략 마련 155
Ⅴ. 결론 및 제언 167
가. 연구의 주요내용 168
나. 정책적 제언 171
다. 연구의 한계점 176
참고문헌 177
판권기 178
〈표 Ⅱ-1〉 로컬브랜드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연구 33
〈표 Ⅱ-2〉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34
〈표 Ⅱ-3〉 '안홀드-GfK 로퍼 도시 브랜드 지수' 도시 브랜드 가치 평가 항목 35
〈표 Ⅱ-4〉 로컬 브랜드 로고와 심볼 57
〈표 Ⅲ-1〉 혁신지구 적용사례 68
〈표 Ⅲ-2〉 주체별 역할 69
〈표 Ⅲ-3〉 도시재생 뉴딜사업 유형 73
〈표 Ⅲ-4〉 도시재생 뉴딜사업 유형별 특징 74
〈표 Ⅲ-5〉/〈표 Ⅱ-5〉 전라남도 도시재생사업 현황 76
〈표 Ⅲ-6〉 전남 도시재생사업 조사 및 분석 범위 82
〈표 Ⅲ-7〉 전남 도시재생사업 지역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을 위한 분석의 틀 84
〈표 Ⅲ-8〉 목포시 도시재생사업_〈목원동 일원 재생〉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85
〈표 Ⅲ-9〉 목포시 도시재생사업_〈보리마당〉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86
〈표 Ⅲ-10〉 목포시 도시재생사업_〈1897 개항문화거리〉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87
〈표 Ⅲ-11〉 여수시 도시재생사업 〈스마트하게 통통통 문수동〉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88
〈표 Ⅲ-12〉 여수시 도시재생사업 〈상생으로 새로이 비상하는 백년재생〉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89
〈표 Ⅲ-13〉 여수시 도시재생사업 〈여수의 자존심 FLEX 국동〉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89
〈표 Ⅲ-14〉 순천시 도시재생사업 〈도시재생 선도사업_향동, 중앙동 재생〉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0
〈표 Ⅲ-15〉 순천시 도시재생사업 〈비타(Vita)민(民), 저전골〉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1
〈표 Ⅲ-16〉 순천시 도시재생사업 〈몽미락이 있는 청사뜰〉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1
〈표 Ⅲ-17〉 순천시 도시재생사업 〈생태 비즈니스 플랫폼, 순천역전〉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2
〈표 Ⅲ-18〉 순천시 도시재생사업 〈미세먼지 안심 어린이 플레이 그라운드 조성〉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3
〈표 Ⅲ-19〉 나주시 도시재생사업 〈살아있는 박물관 도시 만들기〉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4
〈표 Ⅲ-20〉 나주시 도시재생사업 〈도란도란 만들어가는 역전마을〉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4
〈표 Ⅲ-21〉 나주시 도시재생사업 〈근대유산과 더불어 상생하는 영산포〉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5
〈표 Ⅲ-22〉 나주시 도시재생사업 〈현대화로 재조명한 역사, 문화 복원도시〉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6
〈표 Ⅲ-23〉 나주시 도시재생사업 〈금천면 이화공동체의 달빛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6
〈표 Ⅲ-24〉 광양시 도시재생사업 〈골목과 한옥, 문화로 다시 가꾸는 광양 삶터〉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7
〈표 Ⅲ-25〉 광양시 도시재생사업 〈태인동 과거, 현재, 미래를 열다!〉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8
〈표 Ⅲ-26〉 광양시 도시재생사업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꿈꾸는 워라밸시티 광영〉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8
〈표 Ⅲ-27〉 광양시 도시재생사업 〈광영 스포츠 콤플렉스 조성사업〉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99
〈표 Ⅲ-28〉 광양시 도시재생사업 〈삶의業타운에서 레벨up타운으로, 금호다움 플랫폼〉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0
〈표 Ⅲ-29〉 담양군 도시재생사업 〈문화생태로 새로운 천년을 디자인하다〉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0
〈표 Ⅲ-30〉 담양군 도시재생사업 〈새로운 천년을 노래하다! 담양 천년문화광장〉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1
〈표 Ⅲ-31〉 담양군 도시재생사업 〈슬로시티로(路) 함께 사는 창평 달팽이 마을〉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2
〈표 Ⅲ-32〉 곡성군 도시재생사업 〈석곡에서 살면 돼지 Reborn 1973〉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2
〈표 Ⅲ-33〉 곡성군 도시재생사업 〈공생, 공유, 공감의 공간! 기차마을 행복 이음터〉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3
〈표 Ⅲ-34〉 구례군 도시재생사업 〈뉴카터로 살릴레오〉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4
〈표 Ⅲ-35〉 구례군 도시재생사업 〈삼대삼미와 함께 살아가는 전원도시재생 구례〉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4
〈표 Ⅲ-36〉 고흥군 도시재생사업 〈다시 반짝이는 별, 고흥〉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5
〈표 Ⅲ-37〉 보성군 도시재생사업 〈엄마품 주거지 장좌마을〉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6
〈표 Ⅲ-38〉 보성군 도시재생사업 〈온동네 행복이음터 조성〉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6
〈표 Ⅲ-39〉 보성군 도시재생사업 〈걸어서 보성속으로 젊음의 활력으로 역사를 이어가는 보성〉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7
〈표 Ⅲ-40〉 화순군 도시재생사업 〈청춘 신작로와 함께, 되살아나는 힐링도시 화순〉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8
〈표 Ⅲ-41〉 화순군 도시재생사업 〈문화와 공감이 있는 정원마을〉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9
〈표 Ⅲ-42〉 장흥군 도시재생사업 〈칠거리 골목 르네상스〉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09
〈표 Ⅲ-43〉 강진군 도시재생사업 〈강진읍 위대한 유산〉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0
〈표 Ⅲ-44〉 강진군 도시재생사업 〈맘(MOM)편한센터 조성사업〉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1
〈표 Ⅲ-45〉 강진군 도시재생사업 〈응답하라 병영 600〉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1
〈표 Ⅲ-46〉 해남군 도시재생사업 〈아이와 공동체의 미래를 키우는 행복 삶터, 해남〉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2
〈표 Ⅲ-47〉 영암군 도시재생사업 〈SMART로 재탄생하는 영암〉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3
〈표 Ⅲ-48〉 영암군 도시재생사업 〈호!호!호! 삼호아우름플랫폼〉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4
〈표 Ⅲ-49〉 무안군 도시재생사업 〈꿈틀꿈틀 생동하는 행복무안〉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4
〈표 Ⅲ-50〉 함평군 도시재생사업 〈함평천지, 한우ㆍ나비ㆍ국화축제와 만남〉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5
〈표 Ⅲ-51〉 영광군 도시재생사업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향한 영광 뉴트로(Newtro) 재생〉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6
〈표 Ⅲ-52〉 완도군 도시재생사업 〈완도 별바다 지식, 치유 어린이 플랫폼〉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7
〈표 Ⅲ-53〉 완도군 도시재생사업 〈장보고의 영광을 다시 한 번, Try again 중앙마을〉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8
〈표 Ⅲ-54〉 완도군 도시재생사업 〈세대와 이웃이 모이는 행복충전소〉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9
〈표 Ⅲ-55〉 진도군 도시재생사업 〈활력이 넘치는 옥주골 만들기〉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19
〈표 Ⅲ-56〉 진도군 도시재생사업 〈흥과 그리움이 있는 보배섬! 어서오게 놀다가소〉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20
〈표 Ⅲ-57〉 완도군 도시재생사업 〈세대와 이웃이 모이는 행복충전소〉의 로컬브랜드 구성요소 분석 121
〈표 Ⅲ-58〉 전남 도시재생사업별 로컬 브랜드 구성요소 종합 분석 122
〈표 Ⅳ-1〉 도입기능별 혁신지구 사례 129
〈표 Ⅳ-2〉 지역특화사업의 유형 130
〈표 Ⅳ-3〉 생활권 단위 로컬브랜딩의 4대 핵심가치 133
〈표 Ⅳ-4〉 스마트 도시재생 추진방향 152
〈표 Ⅳ-5〉 단계별 성과관리계획 154
〈표 Ⅳ-6〉 전라남도 시군별 콘텐츠 개발 요소(1) 161
〈표 Ⅳ-7〉 전라남도 시군별 콘텐츠 개발 요소(2) 162
〈표 Ⅳ-8〉 전라남도 시군별 콘텐츠 개발 요소(3) 163
〈표 Ⅳ-9〉 전라남도 시군별 콘텐츠 개발 요소(4) 164
〈표 Ⅳ-10〉 전라남도 시군별 콘텐츠 개발 요소(5) 165
〈그림 Ⅱ-1〉 브랜딩 단계 및 라이프스타일 공동체 만들기 29
〈그림 Ⅱ-2〉 한국형 로컬브랜딩의 필요성 31
〈그림 Ⅱ-3〉 도시들의 랜드마크 36
〈그림 Ⅱ-4〉 미국 텍사스 오스틴의 라이브 뮤직 행사 38
〈그림 Ⅱ-5〉 로컬 경제 생태계 모델 39
〈그림 Ⅱ-6〉 피렌체 모델 41
〈그림 Ⅱ-7〉 베를린 타클레스(Tacheles) 42
〈그림 Ⅱ-8〉 베네치아 모델 44
〈그림 Ⅱ-9〉 아트바젤(Art Basel) 44
〈그림 Ⅱ-10〉 디자이너 빌리지 46
〈그림 Ⅱ-11〉 액티브 로컬 군산 46
〈그림 Ⅱ-12〉 스위스 라벨과 맥가이버칼(빅토리녹스) 48
〈그림 Ⅱ-13〉 성미산 공동체 50
〈그림 Ⅱ-14〉 성공한 브랜드 사례 51
〈그림 Ⅱ-15〉 지역명을 이용한 로컬 브랜드 이름 52
〈그림 Ⅱ-16〉 언어적 이미지 활용 사례_시애틀의 '메트로 내추럴(metronatural)' 53
〈그림 Ⅱ-17〉 언어적, 시각적 이미지 활용 사례_오스트레일리아의 더보시(Dubbo)의 심볼 54
〈그림 Ⅱ-18〉 나이키 심볼과 로고타입 56
〈그림 Ⅱ-19〉 에딘버러 브랜드 색상별 매뉴얼 58
〈그림 Ⅱ-20〉 캐릭터 활용 사례 59
〈그림 Ⅱ-21〉 지역을 대표하는 서체 61
〈그림 Ⅲ-1〉 도시재생 뉴딜의 목표 64
〈그림 Ⅲ-2〉 도시재생 쇠퇴지표 65
〈그림 Ⅲ-3〉 도시재생사업 추진절차 66
〈그림 Ⅲ-4〉 전라남도 도시재생 사업 선정 현황 71
〈그림 Ⅲ-5〉 전라남도 도시재생 사업 현황(2023년 기준) 72
〈그림 Ⅲ-6〉 전라남도의 심벌(도기) 및 세부 내용 77
〈그림 Ⅲ-7〉 전라남도 슬로건 78
〈그림 Ⅲ-8〉 전라남도 캐릭터 79
〈그림 Ⅲ-9〉 전라남도 전용색상 80
〈그림 Ⅲ-10〉 전라남도 서체_푸른전남체 81
〈그림 Ⅳ-1〉 도시재생사업 유형 개편 128
〈그림 Ⅳ-2〉 로컬브랜딩 탐색 지표 134
〈그림 Ⅳ-3〉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 활용 개요 134
〈그림 Ⅳ-4〉 성과 연동형 성과관리 체계 154
〈그림 Ⅳ-5〉 전남 도시재생 사업지역의 로컬 브랜드 형성을 위한 통합적 계획의 체계 157
〈그림 Ⅳ-6〉 로컬다움 찾기 과정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