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01. 서론 4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02. 산불 발생 및 피해 현황 7
1) 산불 발생 현황 7
2) 산불 피해 현황 16
3) 산불 관련 선행연구 고찰 19
4) 소결 22
03. 산불 예방ㆍ대응ㆍ복구 단계별 지역 유형화 23
1) 분석의 틀 23
2) 산불 예방단계 지역 유형화 분석 및 결과 24
3) 산불 대응단계 지역 유형화 분석 및 결과 31
4) 산불 복구단계 지역 유형화 분석 및 결과 39
04. 산불 예방ㆍ대응ㆍ복구 단계별 정책 지원방안 45
1) 산불 예방단계에서 정책 지원방안 45
2) 산불 대응단계에서 정책 지원방안 48
3) 산불 복구단계에서 정책 지원방안 53
05. 결론 57
참고문헌 58
[부록] 64
판권기 66
표 1. 연도별 산불 발생 상위 3곳 13
표 2. 연도별 평균 진화 소요시간 상위 5곳 15
표 3. 2019년 봄철 산불 관련 기상 상황 15
표 4. 2019년 가을철 산불 관련 기상 상황 16
표 5. 연도별 산불 평균 피해 면적 16
표 6. 시도별 산불 피해 금액 총합 및 평균(2012~2021년) 18
표 7. 시도별 산불 인명피해 누계 및 평균(2012~2021년) 18
표 8. 산불 관리 단계별 선행연구 검토 21
표 9. 산불 예방단계 지표 설정 26
표 10. 산불 예방단계 군집별 Mann-Whitney U검정 결과 28
표 11. 산불 예방단계에서의 지역 유형 구분 및 해당 지자체 30
표 12. 산불 대응단계 지표 설정 33
표 13. 산불 대응단계 군집별 Kruskal-Wallis 검정 결과 35
표 14. 산불 대응단계에서의 지역 유형 구분 및 해당 지자체 38
표 15. 산불의 영향 39
표 16. 산불 복구단계 지표 설정 41
표 17. 산불 복구단계 군집별 Kruskal-Wallis 검정 결과 42
표 18. 산불 복구단계에서의 지역 유형 구분 및 해당 지자체 44
표 19. 산불 예방-1 군집 관련 현 정책 목록 45
표 20. 산불 예방-2 군집 관련 현 정책 목록 47
표 21. 산불 대응-1 군집 관련 현 정책 목록 48
표 22. 산불 대응-2 군집 관련 현 정책 목록 49
표 23. 산불 대응-3 군집 관련 현 정책 목록 50
표 24. 산불 대응-4 군집 관련 현 정책 목록 51
표 25. 산불 대응-5 군집 관련 현 정책 목록 52
표 26. 산불 복구-1 군집 관련 현 정책 목록 53
표 27. 산불 복구-2 군집 관련 현 정책 목록 55
그림 1. 연구 흐름도 6
그림 2. 2012~2021년(10년간) 산불 발생 원인별 비중 현황 8
그림 3. 2012~2021년(10년간) 산불빈도 현황 14
그림 4. 2012~2021년(10년간) 산불 평균 피해 면적 현황 17
그림 5. 지역적 산불 특성 유형화를 위한 지표 선정 모형 24
그림 6. 산불 예방단계에서의 지역 유형 구분 29
그림 7. 산불 대응단계에서의 지역 유형 구분 37
그림 8. 산불 복구단계에서의 지역 유형 구분 43
부표 1. 요인분석 결과_산불 예방단계 64
부표 2. 요인분석 결과_산불 대응단계 65
부표 3. 요인분석 결과_산불 복구단계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