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별 기수 정보
광역의회 구분
1952.05 ~ 1956.06 1956.09 ~ 1960.08 1960.12 ~ 1961.05 1991.07 ~ 1995.06 1995.07 ~ 1998.06 1998.07 ~ 2002.06 2002.07 ~ 2006.06 2006.07 ~ 2010.06 2010.07 ~ 2014.06 2014.07 ~ 2018.06 2018.07 ~ 2022.06 2022.07 ~ 2026.06
서울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부산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대구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인천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광주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대전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울산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세종 1대
(2012.07 ~ 2014.06)
2대 3대 4대
경기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강원 1대
(1956.09 ~ 1960.12)
2대
(1960.12 ~ 1961.05)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충북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충남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전북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전남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경북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경남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제주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닫기
의회별 기수 정보
기초의회 구분
1991.07 ~ 1995.06 1995.07 ~ 1998.06 1998.07 ~ 2002.06 2002.07 ~ 2006.06 2006.07 ~ 2010.06 2010.07 ~ 2014.06 2014.07 ~ 2018.06 2018.07 ~ 2022.06 2022.07 ~ 2026.06
서울 강남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강동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강북구 1대
(1995.03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강서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관악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광진구 1대
(1995.03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구로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금천구 1대
(1995.03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노원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도봉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동대문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동작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마포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서대문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서초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성동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성북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송파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양천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영등포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용산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은평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종로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중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서울 중랑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부산 부산진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부산 수영구 1대
(1995.03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부산 중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인천 강화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인천 동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광주 북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대전 서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대전 유성구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울산 남구 1대
(1997.07 ~ 1998.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울산 동구 1대
(1997.07 ~ 1998.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울산 북구 1대
(1997.07 ~ 1998.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울산 중구 1대
(1997.07 ~ 1998.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경기 고양시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과천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광명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광주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구리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군포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김포시 1대(군)
(1991.04 ~ 1995.06)
2대(군)
1대(시)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경기 남양주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동두천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부천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성남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수원시 1대
(1952.05 ~ 1956.08)
2대
(1956.08 ~ 1960.12)
3대
(1960.12 ~ 1991.03)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경기 시흥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안산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안성시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경기 안양시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양주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여주 1대
(2013.09 ~ 2014.06)
2대 3대 4대
경기 오산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용인시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의왕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의정부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이천시 1대
(1996.03 ~ 1998.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경기 파주시 1대
(1996.03 ~ 1998.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경기 평택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포천시 1대
(2003.10 ~ 2006.06)
2대 3대 4대 5대 6대
경기 하남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기 화성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강원 강릉시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강원 동해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강원 삼척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강원 속초시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강원 양양군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강원 영월군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강원 원주시 1대
(1995.01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강원 춘천시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강원 태백시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강원 평창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강원 홍천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강원 화천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충북 보은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충북 제천시 1대
(1995.01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충북 증평군 1대
(2003.11 ~ 2006.06)
2대 3대 4대 5대 6대
충북 청주시 1대 2대 3대
충북 충주시 1대
(1995.01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충남 계룡시 1대
(2002.07 ~ 2006.06)
2대 3대 4대 5대 6대
충남 공주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충남 논산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충남 당진시 1대
(2012.01 ~ 2014.06)
2대 3대 4대
충남 보령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충남 서산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충남 아산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충남 예산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충남 천안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충남 청양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충남 태안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전북 남원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전북 부안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전북 완주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전북 전주시 1대
(1952.05 ~ 1956.08)
2대
(1956.08 ~ 1960.12)
3대
(1960.12 ~ 1961.05)
4대
(1991.04 ~ 1995.06)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전북 정읍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전남 고흥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전남 광양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전남 나주시 1대
(1995.01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전남 목포시 1대
(1952.05 ~ 1956.08)
2대
(1956.08 ~ 1960.12)
3대
(1960.12 ~ 1961.05)
4대
(1991.04 ~ 1995.06)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전남 순천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전남 여수시 1대
(1998.04 ~ 1998.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전남 영광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북 경산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북 경주시 1대
(1995.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북 고령군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북 구미시 1대
(1995.01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북 김천시 1대
(1995.01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북 문경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북 상주시 1대
(1995.01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북 안동시 1대
(1995.01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북 영주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북 영천시 1대
(1995.01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북 칠곡군 1대
(1995.01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북 포항시 1대
(1995.01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남 거제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남 김해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남 밀양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남 사천시 1대
(1995.05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남 양산시 1대
(1996.03 ~ 1998.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경남 진주시 1대
(1995.01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경남 창원시 1대 2대 3대 4대
경남 통영시 1대
(1991.04 ~ 1995.06)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닫기
상세검색

소식

큐레이션

  •  싱크홀(지반침하) 정책정보 큐레이션 이미지
    정책정보 큐레이션

    싱크홀(지반침하)

    #지반침하 #싱크홀 #땅꺼짐 #지하안전법 #지하안전관리

    2025-07-24

  • [Data+] 한국의 자살률, OECD 1위 이슈 인포그래픽 이미지
    이슈 인포그래픽

    [Data+] 한국의 자살률, OECD 1위

    #자살률 #공중보건 #정신건강 #자살예방정책

    2025-08-04

  • 근로시간의 재구성, 근로기준법 북 큐레이션 이미지
    북 큐레이션

    근로시간의 재구성, 근로기준법

    우리가 하루에 일하는 시간, 일주일에 쉴 수 있는 날, 야근과 휴일 근무의 기준… 이 모든 것은 하나의 법에서 출발합니다. 바로 근로기준법입니다. 일주일에 일할 수 있는 최대 시간(주 52시간), 하루 근무시간, 휴게시간, 연차휴가 등도 이 법이 정해놓은 규칙입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의 발전, 일하는 방식의 유연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대는 기존의 법정근로시간 체계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주 4.5일제 또는 주 4일제라는 새로운 근로시간 모델이 진지하게 논의되기 시작했습니다. 단순한 제도 변화가 아닌, 근로기준법 체계 전반을 재구성해야 가능한 변화이고, 현실화하려면 탄력근무제, 선택근로제, 재택근무 등의 다양한 방식과 연계되어야 합니다. 8월의 의회정보 큐레이션은 주 4일제와 관련된 제도, 법적 쟁점, 노동자 삶의 변화를 근로기준법을 통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일의 기준은 시대마다 바뀌었고, 지금 우리는 그 기준을 다시 써야하는 시점에 왔습니다. 근로기준법은 단순한 법이 아니라 우리 ‘시간’을 규정하는 기준이자, 일하는 방식과 삶의 방식을 바꾸는 출발점입니다. 일하는 시간은 줄이면서도, 더 효율적으로 일하고, 더 행복하게 살아가기 어떤 고민을 해야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2025-08-01~2025-08-31

  •  소상공인 지원 정책정보 큐레이션 이미지
    정책정보 큐레이션

    소상공인 지원

    #소상공인 #자영업자 #소상공인정책 #소상공인법 #로컬상권 #골목상권

    2025-06-24

  • 스웨덴 민주주의다양성연구소(V-DEM) 민주주의 지수 이슈 인포그래픽 이미지
    이슈 인포그래픽

    스웨덴 민주주의다양성연구소(V-DEM) 민주주의 지수

    #민주주의 #민주주의지수 #권위주의화 #민주주의후퇴

    2025-07-21

  • 정보의 진실게임. 가짜뉴스와 법의 대응 북 큐레이션 이미지
    북 큐레이션

    정보의 진실게임. 가짜뉴스와 법의 대응

    우리는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한 손에 쥐고 하루에도 수백 개의 뉴스, 영상, 게시물을 스치듯 접하는 시대. 하지만 그중 얼마나 ‘진짜’일까요? 가짜뉴스는 더이상 단순한 오보나 해프닝이 아닙니다. 사회적 불신을 키우고, 개인의 명예를 훼손하며, 심지어는 국가의 정책과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기도 합니다. 특정한 이익을 위해 조작된 정보는 진실을 흐리고, 시민의 올바른 판단을 가로막습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가짜뉴스’에 대한 법적 대응을 강화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이를 처벌하거나 규제하기 위한 입법 논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가짜뉴스를 직접적으로 처벌하는 특별법은 없지만, 허위사실 유포에 따른 명예훼손, 업무방해, 선거법 위반 등으로 간접적으로 처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 규제가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반대하는 목소리도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지금 ‘진실’과 ‘허위’ 사이의 전쟁터 한가운데에 서 있습니다. 7월의 의회정보 큐레이션은 법과 언론, 자유, 민주주의 사이의 복잡한 교차점에서 어떻게 가짜뉴스가 탄생하고, 왜 사람들은 가짜뉴스를 믿게 되는지 알아봅니다. 그리고 가짜뉴스의 심각성, 그것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혼란, 그리고 이를 막기 위한 국내외의 법적·사회적 노력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가짜뉴스를 막는 것은 단순히 ‘거짓’을 처벌하는 것을 넘어, 진실을 향한 사회의 의지를 확인하는 일입니다. 허위의 정보와 말은 법의 이름으로 멈춰 세워야 합니다. 또한, 법이 작동하기 이전에 균형잡힌 진실의 세상을 바래봅니다.

    2025-07-01~2025-07-31

  •  마을기업 정책정보 큐레이션 이미지
    정책정보 큐레이션

    마을기업

    #마을기업 #지역주민 #지역공동체 #마을기업육성사업

    2025-05-22

  • [Data+] 당신의 정년은 언제입니까? 이슈 인포그래픽 이미지
    이슈 인포그래픽

    [Data+] 당신의 정년은 언제입니까?

    #정년제도 #정년연장 #고령화

    2025-07-21

  • 정보 유출의 시대, 나를 지키는 법. 개인정보보호법 북 큐레이션 이미지
    북 큐레이션

    정보 유출의 시대, 나를 지키는 법. 개인정보보호법

    누군가 나도 모르게 내 문자 메시지를 읽고, 전화 내역을 들여다보고, 금융 정보를 가로채고 있다면 어떨까요? 최근 발생한 유심(USIM) 해킹 사태는 스마트폰 하나로 연결된 우리의 일상이 얼마나 쉽게 노출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유심 해킹은 단지 기술적인 해킹 수법의 문제에 그치지 않습니다. 그것은 곧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디지털 기술이 어떻게 우리의 삶을 위협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위협에 대해 사회와 법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로 확장됩니다. 개인정보보호는 더 이상 전문가나 공공기관만의 책임이 아닙니다.안전을 위한 개인정보보호법과 관련 법의 법적 권리를 알아보고, 디지털 보안의 중요성을 깨닫고,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나의 정보를 지키는 방법을 익혀야 합니다. 6월 의회정보 큐레이션은 개인정보 보호법의 역사와 원칙, 디지털 시대의 보안 감수성, 기술 발전과 함께 진화하는 사생활 침해의 방식들, 그리고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보호 전략까지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준비했습니다.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서, 관련 법적 권리를 소개해 봅니다. 데이터가 곧 자산이 되는 디지털 시대, 법과 기술, 일상의 습관까지, 당신의 사생활과 일상을 지키는 첫걸음, 의회정보 큐레이션에서 준비한 책 한 권에서 시작됩니다. 보이지 않는 위협 앞에서 스스로를 지키는 힘을 얻길 바랍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켜는 순간 시작되는 디지털 일상. 그 속에서 당신의 ‘나’는 얼마나 안전한가요?

    2025-06-01~2025-06-30

지방의회의정정보

회원가입은 국회도서관 회원가입에서 이루어지고 국회도서관 통합ID로 이용 가능합니다. 국회 도서관 회원 가입
닫기